러시아의 새로운 장갑재 드립.Rus 기갑,땅개관련




http://gurkhan.blogspot.kr/2013/04/blog-post_1108.html


에코모스크바 인터뷰 도중 아르마타의 장갑이 '판금장갑' 이라는 말이 나와서 알렉세이 흘로포토프가 장갑재를 연구/개발하고 있는 연구기업 '스탈'에 직접 물어봤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는 '판금장갑'을 기업측에 물어 봤으며 그것은 바로 ESR 공법에 만들어진 장갑재라는 친절한 답변을 얻었습니다. 즉 ;판금장갑' 이라고 잘못 표현한 것이죠. (에코 모스크바 전문에는 아르마타의 장갑재는 세라믹 등과 같은 새로운 복합장갑을 준비중이라고 시엔코가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알렉세이 측에서 질문한 다른 '신개념 장갑재'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그곳에도 친절히 답변이 달려 있었습니다.

스탈은 이 장갑재를 연구/개발한 공훈으로 게오르기 주코프 상을 받았으며 반응장갑 대신 쓸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호재라고 언급되어 흥미롭게 생각해 한번 찾아봤습니다.

http://www.up-pro.ru/companies/news/tplants-premiya-zhukova.html (2012년 뉴스입니다.)

여기에 언급되더군요.

국방부에서 스탈 연구 관계자들에게 게오르기 주코프 훈장을 줬다는 소식이였지요. 무슨 내용으로 받았냐 하면..

90년대에부터 과학부 몆 기관와 '초고속(hypervelocity) 고강도 물질의 파괴'에 대한 효과를 연구함에 대해서 '어느 동일한 초고온, 고압의 처리를 받은 철판에 대한 관통력이 비례적으로 감퇴한다.'라는 연구 보고가 있었고, 이러한 효과는 새로운 전투차량의 장갑재에 대한 미래를 내다볼수 있었습니다. 물론 실증 실험은 10년 이상을 걸리게 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결국 엄청나게 많은 기관들의 합력하에 (러시아 정부소속 원자력 연구기관 두 곳이 나와있네요 ;;;) 결국 실증에 성공하고 새로운 장갑재를 개발 및 테스트 했다! 라는게 이 기사의 주 내용입니다.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입증해서 이러한 기술 응용을 하는게 참 신기하기도 하고. 그리고 초고온,압력을 얻을수 있는 핵기술을 이용한 장갑재 생산은 꽤나 색다르기도 하는군요 -ㅅ-

하여튼간, 릴킷 이후의 반응장갑이 별 소식이 없어 궁금해 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새로운 장갑재 연구를 위해서 잠시 공백이 필요했던 것이군요 (90년부터 연구부터 개발까지 10년 이상이 걸렸다고 했으니..)

현 아르마타 플랫폼의 개량형이나 실험 전차 (혹은 시엔코가 말한 복합장갑에 도입될수도 있겠군요 ㅇㅅㅇ)에 도입될 가능성과 쿠르가네츠 등등에도 이러한 신형 장갑재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오늘따라 새로운 떡밥이나 숨겨진 금광을 찾아내는 일이 많아서 기쁩니다. ㅋㅅㅋ 더 구체적인 소식이 들어온다면 더 좋겠지만. 이정도도 어디냐 라고 기쁘게 포스팅 해봅니다 ㅋㅋㅋ

핑백

  • 우랄잉여공장 : 설레여라 얍 - '아스널' 올렉 시엔코 발언 발췌 2013-06-29 21:09:39 #

    ... 발사차량으로 쓰이던지 아님 이게 전차로 쓰이는것에 따라서 차체는 호환가능합니다. 또한,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장갑재를 사용할겁니다. 그것은 판금장갑(예전 포스팅 참고)이며 이는 몆몆의 세라믹과 다른 장갑재등이 섞인 복합장갑 등을 사용할겁니다. 이 복합장갑은 실제 전투상황시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서 모두 연계되어 있을겁니 ... more

  • 우랄잉여공장 : 2014년 국방부 보고 보다가 2014-10-13 00:40:04 #

    ... 내외 생산판과 월등한 우위를 점함.' 인데.. 이게 어느 장갑판인지가 문제군요 -ㅅ-.. 예전에 언급했던 그 친구가 생각나네요 -ㅅ-. - http://transural.egloos.com/252944 솔직히 말해서 이렇게 천천히 개발하는게 조금더 마음을 안심시킵니다. 차라리 늦더라도 어게인 T-64는 좀 거시기 하걸랑요 -ㅋ- ... more

  • 우랄잉여공장 : 경장갑차량을 위한 반응장갑의 진화 - 2012년 10월 15일자 RARAN 2016-03-17 22:04:50 #

    ... 연구에 대한 관심이 가지는 분들에게 있어. 1. http://transural.egloos.com/307032 (아르마타의 반응장갑) 2. http://transural.egloos.com/252944 (미래장갑재)3. http://transural.egloos.com/310058 (장갑재 연구) 등을 남겨두겠습니다. 'ㅅ'. 관심 ... more

덧글

  • 다크윙덕 2013/04/24 00:29 # 답글

    호오 좋은 떡밥이군요
  • GRU 2013/04/24 00:35 #

    기갤의 몇분들은 러시아판 결손우라늄(DU 장갑) 이라고 하는데 잘 모르겟군요 -ㅅ- 처리과정이 핵기술을 이용한 초고온 고압 처리등밖에 자료가 희박해서 저 물건이 러시아판 DU 장갑인지..
  • 다크윙덕 2013/04/24 00:49 #

    에이브람스가 DU장갑으로 재미를 봤지요,다만 DU와는 다르게 내용상 DU장갑재는 아닌듯 보이지만 좀더 자료가 나와봐야 ㅇㅅㅇ
  • Kasatka 2013/04/24 01:46 # 답글

    호옹이! 좋은 떡밥이군여
  • GRU 2013/04/24 23:51 #

    DU와는 왠지 달라보이지만! 새로운 장갑재라는 언급에 꽤나 러시아도 고생하고 있다는 생각을 들게하는 소식이였습니다 ㅋㅋ
  • 미샤 2013/04/24 23:45 # 답글

    DU장갑을 쓰게 된다면 중량이 늘게 되는 단점이 있는데 전차의 기동성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러시아의 입장에선 부담스럽지 않을까요?
    저는 독일과 같은 나노소재를 이용한 장갑재를 채용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아무리 무인포탑을 통한 포탑중량감소를 통해 장갑을 강화해도..
    DU소재를 적용한다면 너무 무거워지게 되겠고 그렇게 되면 확실히 기동성에서 취약해질수 있으니 말이죠. ㅇㅅㅇ
  • GRU 2013/04/24 23:56 #

    뭐 저기에서도 '철판과 같은 특정한 물질'을 특수 초고압,고열 처리를 했다고 했지만, 무게가 늘어나거나 뭐시기한다는 언급은 없었기에 아직까지 지켜봐야겠지요. 물론 러시아 측에서도 복합장갑 개념으로 가고 있기때문에, 저것은 그저 신개념 복합방어재의 '일부' 일수도 있다라고 말할수 있겠군요.

    뭐 러시아의 DARPA도 점점 준비되어가고 있고, 루스나노와 관련된 스콜테크와 우랄바곤자보드 측 햡략관계도 있으니 다른 장갑재도 나올것이라고 기대하고 잇습니다. 아직까지 아르마타에 언급된 정보론 '세라믹등이 들어간 신 복합장갑'이라고 언급한 수준입니다. 그외 다른 물건도 들어간다는 말이죠 'ㅅ' 그 장갑재 내용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면 한번 써보겠습니다. ㅋㅋㅋ
  • 아라사 2013/04/24 21:03 # 답글

    대..대체 머임 ㄷㄷㄷ Relikt도 후덜덜인데 대체 머임?
  • GRU 2013/04/24 23:55 #

    스탈에서 개발해낸 '기존의 반응장갑과는 다른 새로운 장갑재'이죠
  • 아라사 2013/04/24 21:59 # 답글

    저기다 Relikt까지 덧붙이면 극강이겠네요.
  • GRU 2013/04/24 23:56 #

    복합장갑 밑에 릴킷도 -ㅅ- (물론 릴킷을 대체할만한 물건도 개발되면 좋겠지만 말이죠 ㅋㅋㅋ)
  • v 2013/05/25 06:29 # 삭제 답글

    핵기술이 들어갔다고 DU라 말할순 없죠...첫번째 추정은 복합장갑중 RHA파트의 후처리방식에 원자력관련기술이 응용되었다거나 두번째로는 RHA파트를 새로운 재질의(DU가 아닌 새로운 원자력기술의 부산물일듯한)로 발랐다 정도에 한표던집니다. 아니면 드디어 미스릴/아다만티움 연금에 성공한것일수도;;;;;어?배달 안시켰는데 누가 자꾸 벨을 눌러대네요??뭐징??으을ㄴ바ㅏㅜ누;;;
  • GRU 2013/05/25 09:32 #

    저도 1,2번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DU라고 했으면 '미국과 유사한 기술'이라고 말을 했겠지요 -ㅅ- (더군다나 소련/러시아에도 DU 기술은 있습니다. 만들고 싶었으면 이미 만들었겠지요. 이미 날탄에는 열화우라늄탄을 쓴적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DU장갑을 만드는데에 10~20년이 걸린다고 하니, 이미 개발된 DU 기술을 어떻게 해야 20년이라는 긴~세월을 보낼수 있는지 궁금해지는군요 -ㅅ-

    사실 아다만티움이라는 말도 있..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