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마타 2D 예상도 ㅇㅅㅇ 기갑,땅개관련



야, UKBTM이 안 밝히니까 오만 상상도가 다 나오네요 -ㅅ-

위에다가 20MM 동축 복열기관포;;; 이건 예전 우크라이나 사람이 만든 T-100-140와 비슷하게 생겨 보입니다.

그리고 쉬토라 유탄/혹은 미사일 포대가 두대 그것으로 인해 이누미미가 되었습니다! 오오 아르마땅 모에모에

????

저렇게도 나오면 꽤나 좋을것 같습니다 =ㅅ= 조금더 포탑이 떡장 + 떡무장이면 더 좋겠군요 -ㅅ-


덧글

  • 티르 2013/07/02 16:38 # 답글

    떼구공에 이누미미 아르마타라니 만약 현실이라면 어휴 모에사 하겠네욬ㅋㅋ
  • GRU 2013/07/02 16:40 #

    세상에, 나 뿅간다이~

    여담으로 저 예상도 나쁘진 않은것 같습니다. 적당히 미래이고 둥글둥글한 느낌도 나고 ㅋㅋ 러시아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ㅅ-
  • 그리늄 2013/07/02 16:39 # 삭제 답글

    팍파는 그나마 시험기라도 공개해서 어느정도 추측해볼수있었지만(평균적인 평가는 라이트닝 이상 랩터 이하 지만 추정 스팩으로는 랩터이상이라는 평가도... ㅎㄷㄷ)
    아르마타는 한번도 공개된적이 없으니... 나오는 시기도 그렇고... 성능도 조금은 의심이 됩니다
  • GRU 2013/07/02 16:41 #

    옙, 언제나 의심해보고 또 검토해봐야 겠지요 ㅇㅅㅇ

    일단 올렉 횽님과 빅토르 횽이 밝힌 자료를 토대로 파악한다면, 모듈형 차체인것과 러시아 전체계에서는 볼수 없었던 녀석이 튀어나올것이라는 것이죠 ㄲㄲ 기대와 우려를 나타내면서 또 기다려 봐야겠지요.

    만약 저렇게 나오면 ㅋㅋㅋ 귀요미 전차 3호 탄생
  • 그리늄 2013/07/02 17:07 # 삭제

    안타까운점은... 여러가지로 단점을 개량했다고는 해도 아직도 케로젤식...
    일체형 탄약 개발하는걸로 봐선 쓸수 있을것같긴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 GRU 2013/07/02 17:15 #

    케로젤이 나쁜게 아닙니다. 오히려 좋을수가 있지요, 거기안에 있는 휴행탄의 유폭 문제이지, 케로젤 장전장치 자체가 잘못된것은 아닙니다. 물론 일체형 탄약이 아니라서 조금 관통력이 떨어질수도 있었지만, 지금은 기술력으로 극복이 가능한 상태이지요.

    러시아 기갑 기술자들은 이미 만들어놓은 훌륭한 자동장전장치를 개량하면 개량했지, 절대로 버리지는 않을겁니다.

    제가 예전 포스팅에도 말했듯이, 방호력과 그 장갑을 지탱해주는 엔진기술만 소련시절 발전했더라면 아마 케로젤에 대한 악명은 조금더 줄어들었을 겁니다.
  • 미샤 2013/07/02 19:44 #

    케로젤은 대한민국 육군에서도 버슬형과 딱딱 장단점 맞춰 보고해요. 특히 차체내부에서 장전장치가 안전하게 보호받는 것은 크게 평가하고 있고요.
    버슬형은 케로젤형과 반대로 외부에 위치한 탄약고로 인해서 피격확률이 높은게 단점이죠. ㅇㅅㅇ
  • 그리늄 2013/07/02 22:38 # 삭제

    케로젤식에 의한 분리형 탄약+ 낮은 포구압력의 125mm에 의해 관통력이 잘나와야 600mm수준인데(몰론 분리형 날탄으로는 거의 정점이긴합니다)
    서방제 120mm 일체형 탄약은 700~850mm 까지 나오는 놈들이라... 평균적으로 100mm이상 차이가 나니까문제죠
    조금 떨어지는 수준이 아니라서요... 분리형탄약만이라도 좀 바꿨으면좋겠습니다
  • 그리늄 2013/07/02 22:47 # 삭제

    아 나름 신형 날탄인 3BM-42M 조차 600~650mm가 한계인지라... 분리형 날탄의 한계를 보여주잖습니까
  • GRU 2013/07/03 00:07 #

    3BM42M이 나온게 1990년대, 즉 소련이 망하고 난뒤에 나온 물건이지요. 물론 이게 러시아 연방의 연구에서 나온건 아닙니다. 소련때의 연구가 늦어져서 러시아 연방때 나온겁니다. 연구는 되었는데, 나온게 90년대였죠(..)

    즉 잃어버린 10년의 여파가 컸으며 러시아가 제대로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되서야 드디어 그리펠이라던가, 아니면 스비녜츠 (제가 말하는 스비녜츠는 3BM59/60 말하는겁니다)가 나오기 시작한거지요.

    만약 잃어버린 10년이 없었더라면 아마 더 빠른 시일내의 일체형 탄을 보았을수도 있었습니다. 물론 역사에는 만약이라는 말은 없지요 :)

    그러니 이정도로 재건한 러시아 기술들을 관심있게 지켜보는것이 중요하지요 ㅋㅋ
  • 그리늄 2013/07/03 16:03 # 삭제

    지금 러시아군은 경이로운 속도로 군을 현대화 하면서 신형 무기 개발에 힘을 쏟고있지만
    소련시절에도 개념은 앞서나갔을 지언정 기술은 조금씩 뒤쳐졌고 결정적으로 잃어버린 10년의 격차는 아직 큽니다. 소련/러시아군의 팬으로서 안타깝긴 하지만 이게 러시아의 한계죠
    하지만 세계적인 군축에 시대에 오히려 군을 증강하고 현대화 하는 러시아의 모습으로 봐선 10년정도면 군의 회복과 기술력의 격차를 따라잡을수거라고생각합니다
  • 그리늄 2013/07/03 16:12 # 삭제

    좀 뜬금없는 소리긴 했지만 결론은
    아직은 러시아에겐 한계가 존재하다는 겁니다. 서방과 대등한 힘과 기술을 갖추려면 몇년은 좀더 회복하고 힘을 길러야한다는겁니다
    (무슨소리를 하는건지 모르겠...ㅎㅎ)
  • GRU 2013/07/03 16:20 #

    뭐, VPK(방산기업)들과 국가가 오랫만에 뭉쳐서 2020~그 이후를 열심히 준비중이니 기대를 해봐야 겠지요 ㄲㄲ

    현대화란것이 미국을 따라잡는것 보단 일단 러시아 안보에도 중요한 일이니 말이죠 'ㅅ'

    R&D도 성과가 나쁘지 않는지 전열화학포도 튀어나오고 말이죠, 2015~17년 쯤 되면 성과가 많이 나타날듯 싶습니다.

    - 이상하게 러시아 제조업 성장률이 방산기업 발전과도 연관이 깊다는 사실(이유: 우랄바곤자보드, 그리고 카마즈, MAZ, 등등 그외 기업들이 투잡으로 민간 기계부품, 등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지요 'ㅅ')
  • Kuznetsov 2013/07/03 16:28 #

    기술이 딸린다고 하기도 뭣한게 옐친 시절의 암울한 러시아 공화국 때 조차 소련시절의 RnD예산을 지속적으로 유지했다고 하지요 호버링조치는 이를 위해 시행된거고.. 매스프로덕션을 포기할언정 기초연구개발은 죽어라 지킨 보람이 경제력이 회복되며 결실이 맺히는 중인것입니다 실제로 새로운 개념의 신기술 이용에 있어서는 러시아가 오히려 미국보다도 앞서는 부분이 종종 보이기도 하고 말이지요..
  • 그리늄 2013/07/03 16:51 # 삭제

    러시아가 기술이 뒤쳐지는건 사실입니다 러시아가 주도적인 몇가지 분야(대공, 대함 미사일 정도... 하지만 이것도 미국은 별로 필요를 못느껴서 그런겁니다)를 제외하곤
    실험을 통해 검증된 병기 스팩 등으로 보면 상당히 차이가 나죠 몰론 군이 한번 붕괴됐다가 회복한거기 때문에 당연한거긴 합니다만
    아직 상당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서 높은 수준의 신무기를 뽑아내긴 하지만 일단 러시아측 발표나 추측뿐인지라...
  • 그리늄 2013/07/03 16:57 # 삭제

    러시아의 상대가 될만한 국가가 기술관록의 유럽(특히 독일)이나 쇼미더머니 미국이기 때문에
    보통 나라보다 뛰어난 수준으론 안된다는 거지 러시아의 기술력이 못하나다는건 아닙니다
    상대적인 비교대상이 뛰어날 뿐이죠
  • 제너럴마스터 2013/07/02 16:44 # 답글

    무슨 덩치커진 엘퀴보는 기분이네요.(...)
  • GRU 2013/07/02 16:44 #

    푸른색 계통이라서 더그럴껍니다 ㅋㅋ
  • Kuznetsov 2013/07/02 19:33 # 답글

    부족하다부족해장갑이부족하다장갑이부족해더더더더더더더더ㅓㅓㅓㅓ

    분리장전식의 꿈과 희망의 탄약 그리펠이여 믿쑵니다 아르마타를 보좌할 것을 반응장갑계의 최강자 렐릭떼여 믿쑵니다 아르마타를 보좌할것을 오오 그거슨 완성체 아르마땅
  • GRU 2013/07/02 19:48 #

    릴킷 + 새로운 복합장갑(올렉 시엔코가 언급했죠)이 들어간다고 했지요 ㅇㅅㅇ
  • 미샤 2013/07/02 19:35 # 답글

    증가장갑이 달린 모습을 그려달라능 포탑이 허전하다능!
  • GRU 2013/07/02 19:49 #

    저건 민간인 전문가가 만들었다능. 아직 우랄바곤자보드꺼는 안나왔다능
  • Kasatka 2013/07/02 21:44 # 답글

    프로토 타입을 보고 싶은데 말이져 ㅋㅋ
  • GRU 2013/07/03 00:10 #

    아마 올렉 시엔코의 머리에다가 권총을 내밀어야.. 그러면 코로 보르시치를 마시게 되겠군요 -ㅅ-
  • 미샤 2013/07/03 13:14 # 답글

    왠지 예상도에서 T-95의 모습이 겹쳐보입니다.
    어째 떼구오에서 쓰일려고 했던 수직케로젤 쓸거같은 느낌이 드는군요.
  • GRU 2013/07/03 13:37 #

    개량된 케로젤과 수직형으로 나오길 빕니다 ㅇㅅㅇ

    - 예전 전열화학포 드립떄, 이미 자동장전이 가능한 전열화학포를 제작했지요 ㅇㅅㅇ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