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그리웠나? 돌아왔다! BIUS GALS-D3M! 기갑,땅개관련



'전투정보통제시스템' BIUS는 현재와 미래의 러시아군에게 필요한 체계입니다. 네트워크전의 핵심이자, 기갑 세력의 전투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기술이지요.

그러나 러시아군에겐 아직까지는 그런 체계가 도입되지 않았습니다. '프로그레스' 사의 GALS 시스템 - 특히 최신형인 GALS-D3M이 나오기 전까진 말이죠.

GALS-D3M은 CICS(BIUS)를 찾고 있던 러시아군에겐 완벽한 대안이며, 모든 차량에 들어가 네트워크를 구축할수 있습니다. 이 체계는 전투차량 내부에 단일전투환경의 안정화, 목표, 항법장치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 복합체는 이러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마치 컴퓨터 CPU처럼, 모든정보를 처리하지!' - 그런데 레오파드 2가 저기에 예시짤로 달려있는건 그냥 착시일 뿐

뭐 RWS든 관측창이든 뭐든, 이 장비를 구축하면, 모든 상황 정보가 뜨게 됩니다. 뭐 GALS 시스템에서 빠질수 없는것이 항법 시스템이지요.

거리계와 GPS/글로나스 항법수신기를 이용하여 거리상의 체계상의 오류들을 최대한 피할수 있게 되었으며, 그리고 사람들을 가장 헷갈리게 만들었던 또다른 BIUS 기능 즉 '노출식(스트랩다운) 통합관성항법시스템가 거리 측정기와 정보를 표시해 줍니다. (전방에 적이 있습니다. 우회하십쇼) - 그리고 여러 전투정보들을 소프트웨어에 안정적이게 배분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테스트 해본 결과 기동시 전장상의 제한이 사라졌습니다. 즉 조직력이 매우 강화되고, 더욱 효과적이게 지휘를 할수 있으며 각 유닛의 상호작용이 더욱 원활해 졌습니다.

BIUS가 포에 정보를 전달하여 적을 발견할시 네비에 따라서 움직이는 적을 향해 거리를 재어 정확도 개선에 나설수 있습니다.



'목표추적!'

이런 방식으로 말이지요. 관측창으로 정보를 취득하면 BIUS가 포신에 위치한 센서로 정보를 보내어 자동적으로 포신이 적을 조준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D3M은 디지털 모뎀도 가지고 있으며 이 모뎀블록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VHF/HF 무전 을 사용하고 모바일 모니터링 센터 역활을 하면서 초당 345킬로비트 이상의 속도로 영상과 목소리를 네트워크 상으로 공유할수있게 만들었습니다. 유닛당 15KM 이내의 네트워크 범위을 가지며, 이 체계를 장착중인 차량끼리 행진이나 기동중에서도 레디오 센서가 이 거리를 유지해줍니다. 그리고 전자전 상황에서의 재밍에도 마비가 되지않을 정도로 체계는 강력합니다.

GALS-D3M은 러시아군이 가지는 첫 네트워크 체계이자, 세계 네트워크전 장비의 표준입니다. - NPO 프로그레스의 설명, 테스트를 마쳤다고 저렇게 칭찬해 놓는군요.

뭐 말마따나, 훌륭한 장비이긴 합니다. 러시아군이 첫번째로 가질, 아마 현대화가 본격화되는 2015년, 카마즈나 아르마타나 뭐나  다 이 체계를 갖추어 네트워크 전을 완전 구축하는것으로 되겠군요. 그러면서 점점 개량해 나아가겠지요.

그런데 이건 뱀발로, T-95시절에도 네트워크전 방식이 있었습니다만. 이건 기술력의 부재로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하여튼간 계속해서 떡밥은 나오고 있습니다. 아마 이것들이 잘 된다면, 우리는 또한 러시아군의 집념에 대해서 놀라게 되겠지요 ㅋㅋ 그리고 루스끼 공돌이에게 경의를 표해야 할듯 싶습니다 'ㅅ'

덧글

  • Kasatka 2013/12/14 19:36 # 답글

    불곰 해군은 Sigma CMS

    육군은 GALS-3DM!

  • GRU 2013/12/14 22:31 #

    '아메리깐쓰키! 재미있는걸 발전시켰군!'

    '?!"

    '뭐 우리 해군은 이미 썻긴 했지만 참 대단해! 육군용이라!'

    '하고 싶은 말이 뭐냐 불곰 자식아!'

    '육군 네.트.워.크. 전 우리도 개발했다!'

    '뭐..뭐야!'
  • 미샤 2013/12/14 21:41 # 답글

    사실 아르마타는 레오파르트스키다 파문
  • GRU 2013/12/14 22:32 #

    UKBTM: 으아아아앜!

    정부: 내이놈! 어디서 레오파르드를 만든거냐!

    UKBTM: 레오파르트 3 과 비슷하게 만들었습니다!

    정부: 홍차를 코에 더 부어야 정신을 차리겠구만!
  • Real 2013/12/14 21:42 # 답글

    러시아의 IT기술이나 자동화 기술이 미국보다 좋은가요?;;;
  • GRU 2013/12/14 22:33 #

    미군도 네트워크전을 만들었고 지금 잘 써먹고 있죠.

    러시아군은 이제야 현대적이며 '제대로된' 네트워크전 체계를 대대적으로 도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아 IT 기술은 투자한게 많아서 미국이랑은 격차가 나지만 그렇다고 형편없는 수준은 아닙니다. 요타폰이라는 자국 스마트폰도 개발해 내었고, '알리사' 라는 무인전차 시스템도 개발해 내었는데요 뭐 -ㅅ-
  • ㅇㅇ 2013/12/14 22:10 # 삭제 답글

    2017년 2018년만되도 러시아의 전력이 상당할것같습니다
    91년 소련해채이후 소련의 유산으로 버티면서, 2위 군사강국이라는 자리는 항상 지켰으나

    과연 핵전력과 단지 재래식 보유량을 제외하고는 2위 군사강국의 기량이 맞는지 심히 의심스러운 모습을 한두번을 보여준것이 아니였는데(과연 2위가 맞는가??? 라는 의문을 밀덕 분들이 상당히 품었지요) 가장 큰 이유중에 하나가 바로 엉성한 지휘정보체계였는데 이점이 개선된다면 ..당연히 천조국만큼은 아니여도

    누구도 부정할수없는 부동의 2위 군사대국인것만은 확실해지겠네요

    중국은 아직멀엇고
    영국 일본 독일 뭐..무슨... 비교해볼만한 대상도 아니고.. eu로 똘똘뭉칠생각이라 군비 대폭 축소크리 ㅋㅋㅋㅋ ㅠㅠㅠㅠㅠㅠ

    반면 러시아는 2020년까지 닥치고 군비대폭증강.....


    콩라인 마더러시아는 영원할거같습니다
  • GRU 2013/12/14 22:39 #

    '야 마이클! 큰 고추의 매운맛을 보여주마 포풍부란 러시아가 간다!'

    - 기갑체계 구축에 큰 사건이 터지지 않는 이상, 이미 육군 장비에 있어서 최대 기점을 자리잡을듯 싶습니다. 이래뵈도 굵은 전투는 많이 겪어본 러시아군으로써 피드백도 잘 되어있고, 알게모르게 신형기술을 접목한 전차들이나 기갑기술력을 시행착오로 끌어올렸기 때문이지요. 그 고생의 결과가 만약 결실을 맺는다면, 아마 미국도 '칫 저 친구들 그래도 아직 죽지 않았군' 하면서 소련 시절의 라이벌의 귀환을 알게모르게 좋아할겁니다 =ㅅ=

    왠지 미국과 러시아는 군사적인 관계나 다른 관꼐를 봐도 참 애증적 관계인것 같습니다. 적대하는것 같기도 하고, 공생하는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만약 뭉쳤다간 세계구적 재앙(...) 일듯 싶기도 합니다.

    만약 2017년까지에도 미국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아마 러시아가 '쳇, 미국이 그래도 재미있는것을 만들어서.. 즐겁게 해줄줄 알았는데.. 흥.. 바보같긴..' 하는 츤데레적인 모습을 볼수 있을겁니다. '아르마타는 세계최강이다' 등등 어그로를 끌면서 미국 관심을 끌려고 하겠죠. ㅋㅅㅋ
  • 그리늄 2013/12/14 23:03 # 삭제 답글

    드디어 본격적인 네트워크전 시스템이 나오는군요ㅠㅜ 이제 배치만 하면... 눈물의 CICS
  • GRU 2013/12/14 23:48 #

    배치만 하면 됩니다 ㅋㅋ

    신형 기갑들에게 장착될 예정이죠
  • 자유로운 2013/12/15 00:09 # 답글

    한국은 그나마 흉내라도 내려고 노력 중인데... EU는 안습이고 중국은... 말을 말아야겠네요. 일본은 언급할 가치도 없구요.
  • GRU 2013/12/15 00:39 #

    뭐 한국군도 열심히 준비중이지요 'ㅅ' 빨리 한국형 네트워크 체계가 등장하면 좋겠습니다 ㅇㅅㅇ.

    근데 러시아군 NCW는 진짜 온 갖 차량에 다 붙일 생각인가 보더군요 'ㄱ- 판치르에 넣는다고도 ㅋㅋ
  • Kuznetsov 2013/12/15 01:18 # 답글

    자파드2013에서 보여준 310메가비트를 단차에서도 보여주세요!
  • GRU 2013/12/15 01:25 #

    그건 힘들고! 킬로비트는 보여줄수 있네!
  • Kuznetsov 2013/12/15 01:54 #

    이보세요, 키로비트는 위성통신도 찍는 수치란 말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