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급 하지마 기갑,땅개관련





'이 씨X롬들아!!!' - 러시아 밀덕들


35-43. На сегодняшний день эта разработка является закрытой темой. И как всегда, всякая закрытая тема, в силу отсутствия информации, рождает множество слухов и домыслов. Пока можно сказать одно - это будет современная,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ая боевая машина, отвечающая всем современным требованиям с запасом на долгую перспективу.
Опытный образец машины на выставке в Нижнем Тагиле не демонстрировался, опять же по причине закрытости темы.

35-45 질문 : 개발 계획은 말하는게 '터부'시 되고 있습니다. 뭐 언제나 그랬듯이, 이렇게 되면 오만 억측이 나오게 되지요. 하나는 말해드릴수 있는게, 모든 부분에서 현대에 걸맞고 장기간 동안 쓰이게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3년 9월 니즈니 타길에 프로토타입은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다시한번 이 토픽은 폐쇄되었습니다.(말해줄수 없다는 뜻 35~43까지는 부메랑에 대한 질문 : 취소된건가요? 이런등의 질문이였습니다.)

요약하자면

질문에 대한 아르자마스(VPK) 관계자의 답변인데,


개발관련 답변은 해줄수 없는 '터부' 즉, 절대로 언급해서는 안되는 정보라고 합니다.

부메랑은 2013년 9월 엑스포에 나오지 않았다는 것만 알려주네요 ㅜ

덧글

  • Kasatka 2013/12/14 22:35 # 답글

    스파이샷이라도 올렸다간

    홍차 한뚝배기 하실레예?

    하겠져
  • GRU 2013/12/14 22:43 #

    그러고 보니, 러시아 정부측에선, "FSB 양반들 SVR 양반들 참 수고가 많아요! 진짜 군말말고, 고맙소!" 라고 외치고 있을것 같습니다. 진짜 이정도로 정보 안나오는 거 보면,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는것이고. 우리에겐 안좋지만. 러시아 정부 입장으로 보면, 이렇게 조용히 개발하여 미리 예측을 못하게 해서 적국이나 경쟁자들을 불리하게 만들고 있죠 -ㅅ-

    뭐 요즘 전차만드는 양반들이 없지만 ㄱ-

    그런데 웃긴게 중국에 기술이 들어간다 해도, 기술적 복잡성으로 인해서 막 뻥뻥터질것 같다는 생각을 한건 저뿐입니까 -ㅅ-?
  • 2013/12/15 14:34 # 삭제 답글

    글과 외람된 질문이지만 아르마타 도입이후, 기존 땡칠이와 떼구공이 T-90AM으로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는징.
  • GRU 2013/12/15 16:03 #

    떼구공과 떼칠이가 합쳐질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일단 떼칠이 계열이긴 하지만 조금 다른 설계로 인해서 다른 전차라서. 아마 T-90이 개량이 된다면 T-90A 계열로 개량이 될듯하고 (구공이를 새롭게 생산하지 않는 이상 B와 같은 다른 유형이 나올수가 없습니다. -ㅅ-) M이나 V등을 붙이고 전자장비 개선이나 탄약고 개선등으로 화력/전투력을 높이고 GALS-D3M NCW체계를 도입해서 전체 전투 능력을 높일것으로 추정합니다. 방어력은 렐릭트 체계를 도입하면, 매우 적당할듯 싶습니다.

    떼칠이도 그와 같은 개량이 가능합니다. 포탑 형태가 T-90A와는 달라서 기본 성능등은 약간 떨어지겠지만, 붙이다 보면 어짜피 T-90과 비슷해지기때문이죠. T-72B 비축분량을 2/3만 개량해도 벌써 3세대 전차가 수백대일겁니다. 개량 내역은 구공과 비슷할것으로 보입니다. B3에서 더 개량된 전자장비나 FCS를 도입하겠지요 .ㅋㅅㅋ

    어떻게 보면 아르마타는 하이급, T-72/90은 로우급으로 가는 소련 시절이 생각나는 체계이지만. (아르마타는 체급부터 예상 능력까지 아예 다르기 때문에 - 기본 기갑차체를 대체해 미래 기갑 개념자체를 그려나가는 내용이기에) 뭐 좋은게 좋은것이죠. ㅋㅋ
  • 2013/12/17 10:45 # 삭제 답글

    답변감사해유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