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임무인가?'
http://ria.ru/defense_safety/20131210/983186073.html
열심히 강한 육군(...)을 만들기 위하여 제병합동 체계를 구축중인 서부군관구의 제병합동군 본부는 2014년 개량된 2S19M1(즉 무스타-S 자주포 - 아마 2S19M2를 받을듯 싶습니다.)로 구성된 '자주포병대'를 본부에 창설할 계획이라고 12월 10일, 서부군관구 소식지의 책임자 올레그 코쳬토프가 밝혔습니다.
이 포병대는 기존 포병 여단의 화력을 25%나 올릴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2014년, 본부는 곧 개량된 152MM 2S19M1 자주포을 운용할 자주포병대를 창섫하게 될것이며 아러한 결과로 본부는 화력을 25% 강화할수있다.' - 코체토프가 말했습니다.
또한 이번년 포병 제병합동훈련 중 발사훈련은 30회였으며 그중 반은 예정되지 않은 긴급훈련이였다고 합니다 -ㅅ- (포병 양반들 뭐 빠졌을듯 ㄱ-)
요기서, 제가 말한 자주포병전대, 즉 포병전대(Дивизионная артиллерия)는 소련 시절에서 사단 내에 있는 여러 포병부대를 하나의 포병 사령관의 명령체계 아래로 나눠 자주포 부대 /자주박격포/ 견인포나 기타는 이제 포병대장의 지휘아래에(독립적으로) 사단의 화력지원을 하는 체계입니다. 거기에다가 거기에 추가적으로 적 위치를 알기 위한 정찰대도 있고, 때론 대포병사격대도 편성됩니다. 즉 사단 내부의 독립적인 포병부대. 보병이나 전차, VDV 전투부대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ㅅ- 물론 화력지원 요청에는 철의 비로 응답하죠 ㅋㅋ
그런데 혼합 자주포병대에 2S19M2가 들어가지는지 아니면 2S19M1이 들어가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미 서부군관구 지주포병대는 2S19를 잘 써먹고 있었을테니, 2S19M2가 들어오면서 화력이 더 증대할것~ 이라는 것을 짐작할수 있습니다. -ㅅ-
잡썰 - 가끔씩 Дивизион 이 '사단'이라고 번역될수도 있는데, 주의해야할건 사단은 디비지야, 즉 포병사단이라고 하자면, (실제론 없는거지만 ㅋㅋ)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дивизия 라고 해야겠죠 -ㅅ-. 저건 дивизион - 프랑스 포병대에서 온말이지만 그냥 포병전대라고 번역하죠 뭐 ㅋ, - 우리나라로 치면 포병여단 (1500명쯤 되니까)급입니다. 그런데 왜 디비존으로 쓰냐구요? 프랑스 애들거 보고 '우왕ㅋ 써야지' 하다가 이렇게 계속 이어져 온거니까요 ㅋㅅㅋ
하여튼간 포병 증강도 계속해서 하고 있는것을 보니 기쁘군요 ㅋㅋ
덧글
맛스타 맛스타! 헠헠
업채라면 재탕도 될텐데...
이베이에선 1:72로 팔고 있슴둥
저도 디비지온을 사단이라 착각해서 정말 많은 실수를 범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