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이 분분한 러시아 관통자 기갑,땅개관련


LMZ에서 전시용으로 공개된 관통자의 일부인데, 이렇게 생긴건 현용 러시아 APFSDS에서 찾아볼수가 없는 형태라서 말이지요.


그래서 여기저기에서 추측이 난무하고 있는데, 일단 생김새만 보면 매우 두껍습니다. 길이는 이렇게 사진만 있어 정확히 재질 못했지만, 다른 것들보단 차원이 다른 녀석입니다. 그래서 두가지 경우가 있지여.



1. 스비녜츠


- 제가 생각하고 있는겁니다.


2. 그리펠


- 새로운 의견이 루스끼들에게서 나오고 있습니다. ㅇㅅㅇ



하여튼간 바람잘날이 없군요.

덧글

  • Real 2014/07/13 16:32 # 답글

    중요한건 그동안 125mm의 구경 대비하여 적은 관통력을 극복을 했느냐 안했느냐가 결국 핵심인데.. 얘네도 결국엔 우리처럼 관통자를 길게 늘려서 극복한것 외에는 안보인다로 해석을 해야할라나요? 가득이나 이중분리형태이니까요?
  • GRU 2014/07/20 22:21 #

    아직까지는 모르겠습니다. 저 친구들에 대한 소식은 2015년에 뽑혀나올듯 싶어서 말입니다. (5월 9일 정보공개)
  • 전략전술 2014/07/13 18:27 # 삭제 답글

    이탈피가 두꺼운 것 같긴 한데, 정확하게 정면부 확인이 안되니 애매하군요.
  • GRU 2014/07/20 22:21 #

    아리송하군요. 그리펠이던간 스비녜츠던간, 러시아에서 보이지 않던 물건인건 확실하지만 말입니다.
  • T-72BA 2014/07/13 19:10 # 답글

    새로운 관통자가 모습을 드러냈군요. 이전에 스비녜츠 에 뭔일이 있었다고 말씀하셨던데, 그런역경을 이겨내고 새롭게등장한 탄약이었음 합니다. (기존전차들의 곶아스러움을 넘어서 가야지요 )
    그나저나, BM-48부터 적용된 서구권식의 이탈피로군요. (오랜만에 듣는 너무나도 기쁜소식입니다.) (정말로 이런소식을 얼마나 기다려왔는지모르겠습니다! )
  • GRU 2014/07/20 22:22 #

    그때 소식은 어리둥절했지만 만약 스비녜츠라면 꽤나 진일보한 모습이겠군요 ㅋㅋ

    - 뭐 다른 탄들도 개발중이라서 다른것들도 기대가 되지만 말입니다.
  • 아라사 2014/07/13 19:21 # 답글

    @@;;
  • GRU 2014/07/20 22:22 #

    ???
  • 그리늄 2014/07/14 22:01 # 삭제 답글

    부디 이번 기회에 서방제 날탄에 맞먹는 관통력을 보여주길...
  • GRU 2014/07/20 22:22 #

    그냥 잘 날아가서 뚫기만 해줘, 부탁이야..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