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도로 그외 잡설

야쿠티야 공화국의 아름다운 연방도로 '레나'



그 이후






'세상에!'


4차선으로 넓히고 포장도로를 쌓아놓은 모습입니다.



- 아직까지 갈길은 멀지만, 그래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참 ㅋㅋ. 


++ 라스푸티차는 환절기에 생기는 괴악한 현상입니다. 저기는 여름이에용. 물론 야쿠티야라서 8월이 가을일지도...



- 엔하든 뭐든간 좀 바꿔져야 합니다. 러시아인들이 자기네 도로를 거의 포기한게 아닙니다 ㄱ-.


덧글

  • Ladcin 2014/11/21 19:03 # 답글

    멋진 포장도로!!
  • GRU 2014/11/22 13:29 #

    뭐, 진흙덩이에 안 가려지면 그게 기적일지도 ㅋㅋ
  • 바탕소리 2014/11/21 22:27 # 답글

    오오 러시아 오오
  • GRU 2014/11/22 13:29 #

    포기하지 않아!

    고속도로도 만들고 있다고!
  • shaind 2014/11/21 22:41 # 답글

    그리고 '장기 지반 침하지역' 이라는 표지판이 붙겠죠...
  • 대공 2014/11/22 11:25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RU 2014/11/22 13:29 #

    어머니 대지가 부르는데 안갈. 아니 그냥 싱크홀인가..
  • 바탕소리 2014/11/22 16:46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72BA 2014/11/22 16:44 # 답글

    아무래도 저걸 어찌하긴 해야하니까요.
  • jaggernaut 2014/11/22 17:32 # 답글

    러시아에서 가장 쓸모 없는 3가지

    남자 날씨 도로
  • GRU 2014/11/22 20:38 #

    도로:챙겨주지도 않으면서 ㅡㅡ
  • 무르쉬드 2014/11/22 19:05 # 답글

    얼마나 버틸려나?
  • GRU 2014/11/22 20:38 #

    모르지요!
  • deokbusin 2014/11/23 09:15 # 답글

    1. 만주 서부도 봄철 한정으로 비슷한 현상이 벌어집니다. 눈은 그런대로 많이 쌓이긴 하는데, 봄철 초반기 기온이 밤은 영하고 낮은 5도 좌우의 영상이다 보니 쌓인 눈더미가 정오에 잠깐 녹다가 다시 얼고 하다 보니 대지가 진흙탕이 되는 기간이 꽤 됩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진창밭의 정도가 심하진 않다는 정도죠. 즉 신발과 차량이 지저분하게 되긴 합니다만 이동에는 지장이 없다는 정도입니다. 오히려 반건조 지대인 마른 토양이라서 습기가 비교적 빨리 사라지는 농촌의 대지와는 반대로 도시의 이면도로는 포장된 탓에 지표면으로 직접 흡수도 안되고 건물에 가려서 태양광도 주간 내내 받는 것도 아니다보니 심하면 4월 중순까지 눈덩이들이 천천히 녹으면서 마른 도로가 아니라 비가 온 뒤의 물웅덩이 길이 되는 겁니다.

    2. 전의 포스팅 중에 전차와 궤도식 트랙터 대열을 이룬 사진이 있었는데, 바퀴식 차량의 기술이 발전한 요즘에도 장궤 트랙터를 러시아군이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니 아무래도 라스푸티차 상황에서의 수송 문제도 고려한 장비 배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 GRU 2014/11/23 19:21 #

    1. 머드타임등과 비슷한것인가 보군요. 그래도 그렇게 심각한 현상이 아니라서 다행입니다. 라스푸티차등을 보면, 아예 강을 이뤄버리는 부분도 있어서 눈을 떠보면 차가 강물을 따라 흐르고(...) 있는 모습도 볼수 있어서 말입죠 ㅋㅋㅋㅋ

    2. 보급등의 문제등이나 여러 이유등으로 그러한 차량을 가지고 있을겁니다. 적어도 라스푸티차가 아니라도, 지형이 일반군차량에게는 매우 험한 곳이 많아서 어느 지방에서는 DT 시리즈와 같은 극지방차량을 사용하기도 하지요.
  • 냥이 2014/11/23 14:08 # 답글

    라스푸티차 : 닝겐이 아무리 발버둥 처봐야~
    닝겐 : 우리는 제설차량으로 밀어버리면 되거든!!
    라스푸티차 : 가능할까? 실험해볼래?
  • GRU 2014/11/23 19:21 #

    이..인간의 힘을 무시하지..마!!! - 여러 차량들

    라스푸티차:ㅋㅋ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