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미사일 '게르메스' 기갑,땅개관련



러시아 기준 3세대 차기 대전차 미사일 중 하나인 '게르메스' 미사일은 다용도 미사일 계획으로, 공대지, 지대지, 대함 미사일(?!)로도 사용이 가능한 미사일로 현재 제품은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툴라 KBP에서 제작중인 이 '최신' 미사일은 2가지 버전으로 가능한데, 관측창 관측뒤 최대 사거리 20KM의 성능으로 적 목표물을 파괴하는 통산 미사일과 레이더와 같은 '무 관측창' 용은 최대 사거리 100KM의 성능으로 적 목표물을 파괴 가능하다고 합니다.


(Ka-52의 게르메스 포드)


현재 주요 연구목록은 공군용 게르메스-A - 비흐르를 대체할 공격 헬리콥터에 들어갈 차기 미사일로 개발되고 있지만, 위의 사진과 같이 육군 차량이나 소형 군함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공격용 UAV에 있어 중요한 미사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KBP측이 답변했습니다.


13KG TNT 범용 고폭파편 탄두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반자동식 유도이지만, 차후에는 다른 유도 방식을 채택가능하다고 밝혓습니다. - 위의 레이더 유도등도 가능하다라는 뜻입니다.





(미사일 화통 차량)


평 - 저런게 고지에서 계속 전차부대에 압박을 가한다면 정말 골치 아프겠군요. -_-.. 고정익기 접근도 힘들게 할듯 한데, 예전에 말했던 이지쓰 땅크의 개념이 새록새록 생각나는군요. 그대신 ECM 같은 교란등을 걸고 전차부대를 보내면, 비싼 쓰레기가 된다는게 저런 체계의 취약점일지도 ㅋㅋ?

덧글

  • 존다리안 2015/04/04 20:59 # 답글

    그러고 보니 ADATS의 대공미사일은 대전차도 가능하지요.
    그런데 저런 다목적 미사일은 개발하다 보면 가격이 오를 것 같기도 하고....
  • GRU 2015/04/04 21:07 #

    ADATS가 공중 플랫폼용으로도 개발된다고 보시면 되지요 -ㅅ-ㅋ

    뭐 쟤내들이 알아서 할 문제지만, 개발에 대해서 욕심을 내는거 보면, 가격도 낮출 생각일듯 싶습니다.
  • 붉은10월 2015/04/04 21:24 # 답글

    원소스 멀티유즈로 전체 개발비는 상승하더라도 여러 수요에 계열화로 대응하니 삽질만 안하면 저게 대세가 되겠죠.

    대함미사일이라지만 함대전 용도의 대함미사일과 달리 고속정이나 상륙정 대상일테고 대전차미사일을 개조한
    소형 대함미사일은 과거에 스웨덴이 연안방어용으로 헬파이어 활용한 것처럼 중소국이나 공격헬기 등에서
    사용하기엔 오히려 적절할 것 같습니다.

    윤영하함처럼 용도는 고속정 헌터이면서 대함미사일은 대형함 용도로 달아버리는 기형적인 모습보다는
    저런 것 달아주는게 더 실용적이겠지요.
  • GRU 2015/04/05 00:59 #

    큰몽둥이를 큰거 잡는데 써야지 화력 낭비를 하면 좀 그렇지요. 고속정이나 소형 함은 저런것을 사용하는것이 저도 옳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저거 판치르에도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판치르-SM 때부터는 직접적 화력지원이 가능해진다는 말을 듣고 ㅎㄷㄷ 해졋습니다 ㅋㅋ
  • 붉은10월 2015/04/05 02:23 #

    판치르는 체계 가격이나 덩치 측면에선 아쉽기도 하지만 돈값만큼은 하는 체계란 생각입니다.

    적어도 비호-현무 낭비체계로 두대 갖추는 것보다는 당연히 낫다는 생각이 -_-

    비호는 신궁 달아서 하이브리드(라 명명하지만 실은 그냥 갖다붙인)화한다더니
    요즘 소식이 궁금하기도 하네요.

    거기에 다시 차륜형 대공포 추진하고...

    한국의 군무기체계는 군별/부서별 욕심쟁이 악동들 보는 기분이라는...

    통합전력이나 미래전장예측이 뭔가요 먹는건가요 우걱우걱 ~
  • 反영웅 2015/04/04 22:33 # 답글

    미사일은 역시 러시아네요ㅎㄷㄷ
  • GRU 2015/04/05 00:59 #

    뭐 저쪽에서도 생각했던거 여기도 만든다! 라는 생각이지만 ㅋㅋ
  • 와와 2015/04/04 23:54 # 삭제 답글

    A-222같은것도 그렇고 러시아는 참 유니크한 물건을 많이 만드네요. 레이더유도까지 가능해지면... 언덕 너머에서 레이더만 내밀고 전차들 뚜껑만 뽁뽁 따준다음 도망갈수도 있겠군요
  • GRU 2015/04/05 01:00 #

    레이더로 유도해서 다연장(...)식으로 발사한다면 그야말로 진입하고 있던 기갑세력에겐 악몽일듯 합니다 -_-
  • 무르쉬드 2015/04/05 16:18 # 답글

    배치되기 전까지는.. 그냥.. 보류해야 할 병기가 저런 만능 병기스러운 성능을 제시하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와보니.. 아음속대 항공기 대응용이라던가.. 뭐 그런게 잡혀 있는게 아닙니까?
  • GRU 2015/04/05 16:19 #

    ????!
  • 아라사 2015/04/05 17:57 #

    @@@@@????
  • 아라사 2015/04/05 18:00 # 답글

    저는 저 무기체계의 개념이 머리에 잘 들어오질 않더군요. 너무 다목적이라 어떤 부대에 편성해야 할지도 애매합니다. 미사일 한 개가 다기능이라는 뜻인지 아니면 발사대를 다양한 미사일들이 공유한다는 뜻인지...

    그리고 사거리 100km의 대전차미사일@@?
  • GRU 2015/04/05 21:41 #

    게르메스 자체는 다른 무기체계를 대체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면 될듯하고

    그냥 레이더를 책임지는 통신부대에 방어 및 지원용으로 배치해 놓고 있으면 안성맞춤일겁니다. 적 기갑부대가 확인되면 그곳에 레이더 유도식 게르메스를 사용하는 식으로 아군을 도와주고 자신들의 부대도 지켜낼수 있겠지요 ㅋ
  • 거북이 2015/04/05 21:55 # 삭제 답글

    차량 컨셉이 참 무식하게 생겼네요

    레이더 유도나 빔라이딩도 뭐 그럭저럭 좋다고는 쳐도 루시 친구들은 파이어 앤 포겟 방식을 채택할 생각이 없는건지...
  • GRU 2015/04/05 22:27 #

    그걸 만들줄은 알아도 단가 문제던가 뭐든간 채택한건 손에 꼽을정도 ㄷㄷ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