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무왕A1의 사격장면

애무왕A2 사격장면 (한국군 합동훈련당시)

(2015년 첫 방영된) 아르마타의 사격 모습
2016년 방영된 아르마타의 사격 모습(추가)
주포 쪽은 그럭저럭 괜찮은데, - 2E58쯤이 들어가 있을것으로 봅니다. - 차체 흔들림이 무슨 사시나무 흔들듯. - 심지어 플랫폼은 애무왕이랑 거의 비슷한 크기인 놈이! (무게가 55톤이라고? 흥이다. 58톤쯤 되보이구만)
차체 부분이 문제 - 이건 서스펜션 관련으로 가야 되는데 -_-.. 이 친구들 서스펜션을 아직 다 개발을 못한것.. 인것 같긴 합니다. 예전 아르마타 다큐에서 계속해서 UKBTM이 계속 보고 있던 개발 상황의 대부분이 기동 시뮬당시의 서스펜션의 흔들림이 였거든요.
2A82-1M의 성능 향상이 먼저가 아닙니다. 차체반동제어가 문제로 보입니다. 주포가 너무 쌔진게 문제라고 하면 말이지요.
근데, 이번 겨울(2월 19일 방영)된 아르마타의 추태는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겁니다 'ㅅ'.
"하..하앗.. 무심코.. 떨어버렸다."
ㅋㅋㅋㅋㅋㅋ 농담으로 하자면 : 아르마타는 추운겨울, 감기에 걸린 채 오들오들 떠는 것이고.
냉정하게 보자면, 아직 알파 단계의 작품이라는 것, "세계 최고"라고 함부로 지껄이는 것은 추태일 뿐이자, 테스트와 보완받아야할 시험작.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는 겁니다.
뭐, 이걸 러시아 포럼에 던져놓으니 몆부분에서는 난리(...)가 났습니다. "아르마타"가 아니라 "영구마타"(순화해서 말한것, 원래는 조+ㅈ르마타 임.) ㅋㅋㅋㅋ 거리고 깠고, 쉴드 하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을 저는 지켜 보면서 낄낄대고 있었져.
하지만 오플롯이 아르마땅따윈 묻어버릴 개쩌는 전차다! 라고 응답하는 몆몆 우뽕종자에겐
이걸 먹여주면 되는 문제(...)
예, 러시아의 기술력이 발달한것은 인정합니다 아르마타의 개발과 첫 기동은 성공적이라고 볼수 있었죠. 높은 요구 성능에 비한 무리한 개발기간 (개발기간이 5년밖에 안되는. (...) )에도 말입니다. (러뽕으로써도 인정하지요 ㅋㅅㅋ)
하지만, 너무 보드카를 먼저 뽑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언제나 머리는 냉정히,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때 까지 무리한 비호는 금지라고 해야할 까나.. 요즘 들어서 나오는 글들을 보면서 느끼고 19일 영상보고 깨달아 올리는 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비판 = 이렇게 가다간 힘들지도 모른다. 까진 괜찮아도, 막 윗 글처럼 저렇게 까대는것은 위험합니다(...)
그건 그렇고 예. 오랫만의 밀따구 주제로 만나뵙게 되었군요. 'ㅅ'. 이런 그루를 보고 싶으셨던 분은 반가우실 겁니다.
덧글
애초에 이스라엘한테서 화기관제장치 기술 수입해서 59식 개량에도 적용한 나라죠.
과대-평가 자화자찬은 언제나 반감을 불러일으키지요. 저 T-14의 모습처럼요 -_-
99식이나 96식도 막 중궈에서 "최강-전차" 그러는데 저런 모습 보여주니 엄청 욕먹은 것이구요.
당장 떼62만 해도 '포신안정장치 그딴 소리 집어치워!' 하고 만들었으니...
T-72나 64는 그럭저럭 좋은 안정장치가 달렸습죠 (2E42가 T-72에 달리면서 T-64에게 밀리지 않는다! 할수 있었던 것도 있었지만, 80년대 들어 64도 그렇게 개량..)
예에산이 충분해야 쌔끈한 물건이 나올텐데
그건 그렇고, 너무 포장을 거하게 하는게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글을 러시아 포럼에 올렸을때 반응이 장난이 아니였거든요 -_-
"그렇다! 우리는 병진이다!" 하면서 !@$#$ 싸우는 모습을 보고 "엄.. 이거 잘못한건 아니지?" 라고 말하고 있었죠.
그정도로, 저쪽에서도 약간 "너무" 취해있는게 아닌가 하고 경각심을 가지기 위한 용도로 여기에도 올린겁니다. 그리고 언제나 사실은 알려야죠. ㅋ
근데, 왜 저렇게 차체가 부왘하고 발광하는지에 대해서는 포럼의 한분이 말하길 "무인포탑"에 있다고 보더군요. 강한 주포의 채택으로 화력은 강해졌으나, 반동제어가 약간 더 보통의 포탑(T-90 형식)이라면 그럭저럭 포탑에 반동과 차체에 골고루 갈텐데. 기본적으로 작은 포탑에다가 큰 차체이니 대부분의 반동이 차체로 이동하면서 완전 사시나무 떨듯(...) 흔들림이 심해졌다고.
서스펜션이 신의 작품(...) 이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텐데. 그것이 이제 기술자들이 해야할 문제이겠죠.
기르긴이 누구지 모르고 지금은 스트럴코프을 좋은 쪽으로 생각합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