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그로즈니 전투당시에 영웅이 된 훈카르 파샤 이스라필로프, 머지않아 2000년 32세의 나이로 사살됩니다
유명 체첸전 영화(?)인 "연옥"에서 두쿠스 이스라필로프의 모티브가 된 인물입니다. 저 배우는 이란 계열 러시아인 드미트리 나기예프 개씨발 좆나 멋있었어요
http://www.kp.ru/daily/26528.4/3544779/
체첸전에서 패배해 많은 체첸 반군들과 그의 가족들이 해외 도피를 했고, 러시아군은 관심 있는 종자들을 추적해 사살하거나 납치하는 일들이 많았습니다. 가장 유명한 예로, 카타르에서 유랑생활을 하다 GRU요원에게 폭사당한 체첸을 망국의 지름길로 이끈 와하비즘의 선동가 최고의 러시아 스파이 젤림한 얀다르비예프가 있었죠.
근데, 2000년에 곱게죽은(?) 훈카르의 가족마저 노리고 있는 것인줄은 몰랐네요.
터키로 도주한 반군이자, 훈카르의 동생, 루슬란 이스라필로프가, 5월 12일 밤 이즈미트 시에, 3명의 괴한들이 총격을 가해 살해 하고, 괴한은 폭스바겐 캐디를 타고 사라졌다고 합니다. 터키측은 추정하건데, 러시아 마피아(?)와 혹은 특수요원들의 소행이라고 합니다.
이외에도, 체첸출신 와하비즘 전도가였던 압둘바히드 에딜게리예프도 이스탄불에서 암살 당한적 있었습니다. 2015년 11월에 사살됬습죠. 아주 잔인한게, 에딜게리예프의 가족들은 카디로프 측에게 고문당했습니다. 왜냐면, 에딜게리예프는 도쿠 우마로프(아시다시피, 캅카스 에미레이트의 초대 수장이지요.)와 관계가 있었걸랑요.
하여튼간, 시리아에 있던 ???들이 휴전이 되니 다시 자기들 역활 하러 돌아갔나 보군요 ㅋ-ㅋ.
덧글
그친구들 다 뺑-소니 당했습니다(.?)
어찌보면, 현 이슬람 종교에 불만을 갖고 생긴 신교.. 지만. 이 말듣고 루터가 비웃을법할 정도로, 비인간적입니다(..) 아 칼뱅은 보고 "음" 할지도 모르겠네요.
P.S 와하브들을 칼뱅에 비교하는 건 칼뱅에 대한 모욕이죠. 칼뱅은 와하브처럼 그냥 '경전 따르자' 고 한 것이 아니라 대중이 원하고 또한 시대가 요구하는 방향의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물론 과격하긴 했지만 적어도 틀린 건 아니었기에 사회에 그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었던 겁니다. 반면 와하브파는 그저 세상을 불안하게 만든 것 말고는 한 것이 없죠.
그래도 아주 와하브 운동도 사우디 왕조를 세우기 전의 극초기에는.. 적어도 저런 말을 들을정도로 개막장이 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믿고 싶었지만. 뭐, 현재로 보면, 그야말로 사탄의 왕국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