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I 스탈리의 "적의 다영역파장 시커/조준 체계에 대한 대응적 교란 방식 기갑,땅개관련



원본이 러시아어로 적혀 있어서 읽기가 곤란했기에 번역했습니다. 이 사진은 엄청 옛날에 언급한 (ㅋㅋ) 나키드카 부분과 예전에 올린 아르마타 방호 부분에서 언급되어 있습니다 'ㅂ'.




추가 - 여백이 모자르는 부분이 있어, 밀리미터파 - MM, 레이더 신호는 - RL 레이저는 LI(레이저 방출의 러시아어 - 주)로 줄임.






차기 기갑인 아르마타 이러한 체계가 준비되었긴 하나, 원본 사진에는 더 다양한 부분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특히, EMP로 시커와 혹은 탄 자체를 교란하는 BMG(수직발사형 다영역대응탄)이 있었지요. 아예 자탄이나 다양한 시커등을 하늘에서 장애로 만들어 버린다! 라는 개념입니다.  어찌보면 하드킬적 개념입죠.


또한, 이런 수직발사식 대응탄의 개념은 아르마타의 수직 발사대가 존재함(저기 빨간부분이 바로 발사대입니다.)으로써 도입 가능성은 높습니다만. 하지만 에어로졸 연막에 쓰일 예정이지요 -ㅂ-;


아마, 현 아르마타가 개발되면서 가장 눈에 띄게 연구한것은 저피탐/교란형 능동방어체계(소프트킬) 형태라고 볼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다 완비되었다고는 말할수는 없는 상태입니다.


이즈베스챠 발에 의하면 다영역 감지경보시스템(미사일이 날아오면서 발산되는 자외선 파장을 이용해 모든 미사일 위협을 파악한다!)도 구비되었다고 하지만 누가 압니까. 무라홉스키는 부정했습니다만, 몆몆 기업에서는 아르마타를 위한 자외선 파장감지기등을 개발했다고 언급했습니다.

하여튼간 한 2020년까지는 이 개념을 완비하기까지 아르마타는 저율생산 - 중간개발단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봅니다. 가장 현실적인 시각이자, 어찌보면 미래를 보는 시각입지요 ㅋㅋ



- 2016년 11월 23일 약간 더 수정하고 한글 추가

핑백

  • 우랄잉여공장 : 러시아 위키피디아 - "통합플랫폼 아르마타" (번역) 2016-11-12 21:37:42 #

    ... 코 오브 모스크바)에서 이러한 새로운 스텔스 기능을 밝혔다. 아르마타는 IR이나 무선신호에 왜곡을 가할수 있으며, 이를 '식별신호 왜곡'(이미지 왜곡)이라고 부른다.[참고2] 눈으로 보면 "나 잡아 잡수쇼"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다양한 교란장비로 IR 유도장비들을 교란 시킨다. 내열형 위장막의 사용은 80%의 명중률에서 30% ... more

덧글

  • 자유로운 2016/11/05 15:10 # 답글

    서두를 것 없이 천천히 가는게 베스트겠지요. 제대로만 된다면 두려울 것 없으니까요.
  • GRU 2016/11/05 15:20 #

    서두르면 오히려 안하는 것 보다 못할수도 있는 결과를 내놓을수 있어서..
  • KittyHawk 2016/11/05 16:39 # 답글

    T90의 방어장비와도 연관이 있겠지요? 이전에 본 영상에서 시리아군 T90이 토우를 빗나가게 만드는데 성공하는게 있는지라...
  • GRU 2016/11/05 17:01 #

    쉬토라 장비는 저기에 비해서는 약간 구식일겁니다.
  • KittyHawk 2016/11/05 17:11 #

    토우의 경우 구형 유도체계에 기반한 건 확실히 불리할테고 무선화시키면서 기만기에 대한 대응도 높인 신형 상대로는 좀 힘들겠지요? 간단히 알기로는 사우디군이 무선형을 사갔다고 알거든요.
  • GRU 2016/11/05 17:22 #

    IR(적외선)이나 LR(레이저) 부분에 재밍이 걸려지는 것입니다. 무선 시커 유도식이면 더 잘 걸립니다 -ㅂ-;

    물론 재머에 대응하는 것은 모든 유도 병기가 가지는 숙제입지요.
  • KGB 2016/11/24 01:39 # 삭제 답글

    포탑 위에 KORD치우고 CIWS겸 RWS? 용 Yak-b 붙였으면...
  • GRU 2016/11/26 13:03 #

    예전엔 아르마타에 코르드 붙이자더만!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