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병의 날을 기념한 장군의 2S35의 언급 기갑,땅개관련




https://ria.ru/arms/20161118/1481635201.html

https://ria.ru/defense_safety/20161118/1481635409.html


러시아군의 궁극적 방향은 로봇(무인)화다! 라는 말이 인상적인 장군의 언급에는..


1. 그 기술적 방향(무인화)를 이뤄낸 첫 사례다. - 2S35는 첫 무인(물론 일반임무 시에는 사람 태우지만, 원격으로 포발사 가능 - 주 )포병시스템이다.


2. 표적 획득과 장전(포/장약 장전 전 자동화)을 자동적으로 알아서 하는 우리 자주포 짱짱맨


3. "미래에는 아마 정말로 자율적으로 행하는 무인포병자주포가 나올거다. 아무런 인간의 간섭없이 말이다."


4. 개발은 거의다 끝났고, 가까운 시일내에 많은 포병 여단들에게 배치될 것.


5. MRSI 성능 좋음 깝ㄴㄴ (러시아에선 MRSI를 '화력의 비' 포격형태라고 언급합니다.) 무스타든 해외에 있는 모든 자주포의 성능으 2배임.



소식은 이정도로 요약할수 있습니다 -ㅂ-. 뭐, 2S35가 좋은건 인정합니다. 불발로 끝난 크루세이더의 꿈을 가상적국이 이뤄주는게 참 애석하기도 하지만..

덧글

  • 티르 2016/11/18 21:43 # 답글

    스카이넷이 천조가 아닌 련방에서 나오겠네요...
  • GRU 2016/11/20 15:07 #

    가능할지도요. 얘내들은 ugv 에 만큼은 거의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개발중이라..
  • 자유로운 2016/11/18 22:18 # 답글

    우리도 계속 K9 개량할 이유가 생기는군요.
  • GRU 2016/11/20 15:07 #

    당근개량해야졈
  • 공손연 2016/11/18 22:37 # 삭제 답글

    기갑병기조작의 상당부분을 현재 민항기처럼 컴퓨터에 이양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탑승을 안할지언정 기갑병자체는 존속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병기의 가치와 효율성을 생각할때 전부 자동화한다고 이득이 되지는 않을것 같아요.

    현재 무인공격기마냥 원격과 자동화를 병행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 GRU 2016/11/20 15:07 #

    스웜 전술식으로 UGV도 운용할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예르마크 2016/11/18 23:28 # 답글

    크루세이더는 웁니다.
  • GRU 2016/11/20 15:08 #

    냉전 시기가 끝났다고 포기한 미국은 각성하라 ㅜㅜ
  • RuBisCO 2016/11/19 00:25 # 답글

    로봇땅크가 이젠 전장으로 나오는건가요 호오. 인구가 좀 부족해져도 상쇄할 수 있을테니 괜찮군요.
  • GRU 2016/11/20 15:08 #

    그쪽이 러시아에 대해서는 가장 큰 메리트인것으로 보입니다. 인구증가세가 좋아져도, 소련에 비해 인구는 폭삭 줄어들었으니 말입죠..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