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병기 RnD 보고도 (RAE-2013) 기갑,땅개관련



무인공병차량(장애물제거,지뢰제거,가교전차)


통합대형플랫폼 기반 트랜스미션

무선통제식

RPG방호

50-55톤

순항거리 400KM

잠수도하식


보급차량(아마 K-10 비슷한거 같아보이기도..)


통합대형플랫폼 기반 트랜스미션

자율주행

155MM 파편방호

잠수도하식

40-45톤

순항거리 400KM




정찰로봇(목표 : 일반정찰,음향정찰,무선정찰,전자신호정찰,공병정찰(지뢰),화학정찰)


필요개발사항 - 상황판단능력현대화

              - 자동행동개선

6X6

디젤모터

전자트랜스미션

자율주행

4톤-6톤

155mm 파편방호

도하가능

1일 임무수행가능




2013년 계획안



- 이 계획안 ppt들은 러시아의 국방관련 UGV 개발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더 높은 수준의 개발이 필요하며 AI등도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들어가 있습니다. ㅇㅅㅇ.

- 대형플랫폼은 아마 '아르마타'의 기준으로 보입니다. 현재 그 대형플랫폼을 만족하는 녀석은 그것밖에 없습니다 -ㄷ-.

덧글

  • 자유로운 2016/12/26 02:44 # 답글

    슬슬 전투 공병을 대신해서 움직일 물건들이 나오는군요. 어찌될 값에 저런 물건이 나오는건 SF 소설가 입장에선 흥미롭네요.
  • GRU 2017/01/21 11:57 #

    갈길이 멀지만, 점점 미래가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 아우구스토 2016/12/26 19:24 # 답글

    인구가 그렇게 많지 않은 러시아로썬 좋은거겠죠? 다시 증가추세이긴 하지만...(그나저나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이민온 인구 숫자가 어떻게 되죠?)
  • GRU 2017/01/21 11:57 #

    정확한 숫자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워낙에 선전용으로 부풀리고, 또 줄이기도 하거든요 'ㅂ'.

    증가추세인건 확실합니다. 혼란이 이제 90년대에 비해서는 점점 사라졌거든요.
  • Fedaykin 2016/12/27 13:27 # 답글

    종종 밖으로 나오는 내용을 보면 러시아 로봇/무인도 나름 발전을 많이 한것같은데
    이동네는 여전히 서방쪽이랑 교류를 끊고 있어서...저도 로봇 학계에 있는 사람이지만 러시아쪽은 국제 학술지에 논문도 안내고, 학회에도 안나오고 도통 뭐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중국은 많이 나오는데) 러시아쪽 로봇은 지금의 미/일/유럽 중심의 로봇 세계랑 뭐가 많이 다르려나...상당히 궁금한데 알 방법이 없으니 답답하네요.
  • GRU 2017/01/21 11:59 #

    서방쪽과 관계가 끊어진것.. 이라긴 보단 붕괴 이후 다시 시작하는(...) 후발주자로써 다양한 국가의 기술사례를 모방, 또한 논문을 내고 있는것들도 몆개를 볼수 있지만. 워낙에 RAN(학술원) 자료를 구하기가 귀찮고 어려워서 접근도 쉬운게 아닙니다.

    로봇공학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된건 얼마 되지는 않았습니다. 2010년대쯤 신동력산업이라던지, 신군사기술로 확실하게 탄력을 받은것이지요.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