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최초의 우주재난영화 그외 잡설





살류트-7는 실제 이야기(1985 정거장 고장상황)를 기반으로 한 영화입니다. - 살류트-7는 소련의 살류트 우주정거장 기획의 마지막 버전입니다.


예전에 소개 했듯, 아마 러시아 연방(혹은 소련)에서 나오게 된 최초의 우주재난영화입니다. 그래픽 자체는 훌륭하군요. 아번년 가을에 개봉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살류트-7 사고에 대한 짧은 설명


1985년 살류트-7과 연락이 두절되자, 소련 측은 우주수색(...) 및 살류트 우주정비작업에 나서게 된 것입니다.


천신만고 끝에 발견해서 수동으로 어찌저찌 들어가니까 아니나 다를까 개판이 되어 있던 살류트-7를 또 천신만고(...)를 겪습니다. 통신 오류는 물론이고, 에너지 저장시설이 고장나서, 아예 온도조절이 불가능해져, 정거장 모듈의 온도가 0도를 유지해줬구요. 이리저리 씨름하며 겨우 통신장비와 에너지 모듈을 고치고 위험한 EVA도 하면서 태양전지도 고쳐서 살류트-7는 정상 작동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살류트-7는 꽤 재미난 실험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1986년 마지막 운용시기에 '미르'와 '살류트-7' 간 우주선 이동, 즉 우주정거장 간 이동을 하게 된 최초의 기록이 남아 있습죠.


또 재미난 점은 미르의 첫 실험이자, 살류트-7의 마지막 운용기록이라는 것에도 의의가 있습니다 ㅋㅋ


덧글

  • 존다리안 2017/08/06 15:37 # 답글

    아폴로 13호나 스카이랩과 유사한 사례네요.
  • GRU 2017/08/06 19:19 #

    예. 소련판이라고 하면 될듯 합니다 ㅋㅋ
  • 자유로운 2017/08/06 15:53 # 답글

    그래도 어찌어찌 살렸네요.
  • GRU 2017/08/06 19:14 #

    예. 기적적이라고도 부릅니다.
  • 네비아찌 2017/08/06 19:04 # 답글

    중간에 미국 우주왕복선 그래픽을 보여주고 쏼라쏼라 하는 건 '미 제국주의자의 우주왕복선이 살류트를 포획할 우려가 높습니다! 그전에 회수해야 합니다!' 하는거겠죠? 러시아판 '아폴로 13'. 꼭 보고싶네요.
  • GRU 2017/08/06 19:17 #

    예. 첼린저 호가 실제로 시도한 기획입니다. 어쩌다보니 불운이 미국으로 향한건지 이후에는 첼린저가 사고로(?) 터져버리지만(...)

    - 이에 대한 음모론도 존재하는데 시간이 되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KittyHawk 2017/08/06 20:24 # 답글

    저 사례 이전에 일련의 소유즈 계획 중간에 귀환 중이던 우주인 전원이 사망한 비극도 있었던 걸로 압니다.
  • GRU 2017/08/07 00:44 #

    저것도 재수 없었으면 비극적인 사고으로 끝날수 있었습니다. 'ㅅ'
  • T-72BA 2017/08/12 02:03 # 삭제

    소유즈 1호와 소유즈 T-11인가 아니면 그냥 바닐라 11호인가요?
  • 거북이 2017/08/06 22:47 # 삭제 답글

    이제 왠만한 러시아 큰 영화에는 죄다 라씨야 1 채널이 개입하는 거 같네요

    뭐 그건 그거고 우주영화는 언제나 참 좋아합니다.

    제목은 기억이 안 나는데 브금이 우주에 대해 다뤘던 옛날 건전가요 리믹스 해놨네 여기도 올라왔던 건데
  • GRU 2017/08/07 00:41 #

    예. 고향의 풀밭을 리믹스 한겁니다. 사람들 반응은 별로더군요 ㅋㅋㅋㅋ
  • 거북이 2017/08/07 00:54 # 삭제

    솔직히 명곡파괴수준입니다 ㅋㅋㅋㅋㅋ
  • 소시민 제이 2017/08/07 09:43 # 답글

    사람 '살류'트 -7.

    진짜 사람 살류 소리가 나오는...
  • GRU 2017/08/12 02:28 #

    노잼 ㄷ-ㄷ..
  • T-72BA 2017/08/12 02:04 # 삭제 답글

    항상 우주재난영화는 NASA측에 맞춰져 있었는데 (헐리우드란 참...)
    드디어 소련의 우주개척사 중의 사고를 다룬 영화가 나오는군요. 이런게 나올줄이야!!!
  • GRU 2017/08/12 02:28 #

    뭐, 나쁜 말로 하자면 헐리우드 따라하기지만.

    좋게 말하면, 늦었지만 새로운 변화를 준다는 것이겠죠. ㅎㅎ
  • Seeds 2017/08/13 18:21 # 삭제 답글

    흔히들 2차대전때 사례(?)들을 들며 쏘련이나 러시아가 인명경시가 만연한 .. 이라던데...
    이번에 소개해주신 사례나 그런 걸 보면 그렇게 단정짓는 게 무리수로 보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