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환상 - 대토목공사의 끝판왕 그외 잡설



시베리안 리버 리버설(시베리아 강물 역행사업)


갑자기 지도를 가져와서는 뭘 하겠냐구요? 자, 저 붉은 선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시베리아를 흐르는 가장 큰 강들을 모아 토목공사를 하여, 쓸떄없이 북극해로 흘러가지 않고, 중앙아시아로 흐르게 한다는 계획이였습니다.


목표는 세가지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а воды в Курганскую, Челябинскую и Омскую области России с целью орошения и обеспечения водой малых городов;

쿠르간, 첼랴빈스크, 옴스크 주에 수로를 형성하고, 주요 시베리아 소도시 수원의 보장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а пресной воды в Казахстан, Узбекистан и Туркмению с целью орошения;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에 관개수 공급

Открытие судоходства по каналу «Азия» (Карское море—Каспийское море—Персидский залив).

 '아시아' 운하 건설 (카라해 - 카스피해 - 페르시아만(...) 연결)


1930년대부터 이야기가 되다가, 1960년대 이후로 본격적인 구상을 시작한 녀석이고..


이걸 위해서 한번 핵마도사를 불러 터트려본 것도 있습니다(!) 1971년 3월 23일, 프로젝트 '타이가'로, 페름 지역 북부에 15킬로톤짜리 폭탄을 설치. 펑! 한적도 있었죠.




이 폭발 이후, 700m의 길이와 380m의 너비, 수심 10-15m의 인공 호수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이름없는 호수는 이후 주민들이 '핵호'(야데르노예)라고 부르고, 휴양지로 쓰기 시작했습니다. 버섯과 낚시터, 고철모으는 곳으로 지역에서는 유명한 곳이라고 하는군요(...)


안타깝게도, 타이가 계획은 성공했지만, 문제는 기초적인 토목사업의 기반을 위해서 250기의 핵폭발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고. 소련도 이런건 기겁하고 바로 포기합니다. 토목공사한다고 자기나라 중심에 250발의 핵을 터트릴 국가는 없죠. 그것도 거의 연속으로 말이죠 -_-.


워낙에 저 대토목공사에 대한 왈가왈부가 많았습니다. 당연히 자연환경을 인간이 인공적으로 바꾸는 것이라, 기후변화나 다양한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설득력 있었죠.


여러분은 어떤 느낌인가요 -ㅂ-? 중앙아시아의 물 문제는 정말 심각합니다. 하지만, 이를 바꾸는 것도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르죠..


만약이 이 계획이 진짜로 구성되서 250발의 핵이 터진 후, 운하, 혹은 인공 강줄기가 형성이 되었다면. 인류의 거대한 삽질이라고 했을지, 혹은 20-21세기의 역사책에 쓰여질 위대한 토목사업이라고 언급되었을지, 정말 궁금하긴 하네요 -ㅂ-ㅋㅋ


아, 지금의 러시아는 당연히 꿈도 못꾸는 이야기져 -_-.

덧글

  • 터프한 얼음대마왕 2018/09/08 19:36 # 답글

    시베리아를 흐르는 가장 큰 강들을 모아 토목공사를 하여, 쓸떄없이 북극해로 흘러가지 않고, 중앙아시아로 흐르게 한다는 계획. 중앙아시아의 물부족, 시베리아와 동부지역의 개발은 해야 하죠. 자연환경을 인간이 개발 하는건 필요하죠. 부국환경론이 증명된다는... 어, 이미 게시글에 나온대로 핵무기 250개?? 그걸 할려던 국가는 소련. 운하, 인공 강줄기가 생겨도 방사능 문제와 주변 지역 피해, 부작용을 고려하면 안 하는 게 낫습니다. 중앙아시아의 물부족 문제가 심각해도 그걸 해결할려는 국가가 '소련' 이면 기대 안 하는 게 낫습니다. 가만히 두는 게 낫네요.

    이걸 보면 강대국 맞어? 싶네요. 이 소련의 테크놀러지(?) 삽질의 역사는 파도 끝이 없고. 현재 러시아는 쇠락...

    에구. 이런 흥미진진한 기록들은 한국어로 번역된 논문과 러시아 어 사이트 번역을 해야 이런 자료가 구해질려나...
  • GRU 2018/09/15 16:13 #

    250개 핵탄두를 터트리면 아마 희대의 역사가 되겠죠 -ㅂ-
  • 자유로운 2018/09/08 19:56 # 답글

    진짜 저 시절이나 할법한 상상이군요. 무섭습니다.
  • GRU 2018/09/15 16:13 #

    상상으로 끝나서 다행일지도 ㅋ
  • 무지개빛 미카 2018/09/08 20:24 # 답글

    대규모 토목공사에는 언제나 핵?!?!?!?!? 이거시 바로 붉은 대륙의 기상의 핵공법입니까?
  • GRU 2018/09/15 16:13 #

    핵.. 해애애액
  • 존다리안 2018/09/08 20:35 # 답글

    미제국도 파나마 운하 하나 더 짓는데 핵을 터뜨려 폭파공사한다는 발상을 했던가...:
  • GRU 2018/09/15 16:13 #

    그랬었죠. ㅋㅋ
  • 거북이 2018/09/08 22:59 # 삭제 답글

    그 시절에는 내노라 하는 핵강국들은 죄다 핵으로 공구리치는 걸 꿈꿨으니 뭐.....
  • GRU 2018/09/15 16:13 #

    대형토목엔 핵으로 귀결된다
  • 제트 리 2018/09/09 00:30 # 답글

    소련이 아랄해를 말리지만 않았어도.... 생각 보다 많이 할려고 했네요
  • GRU 2018/09/15 16:14 #

    아랄해에다가 물줄기를 하나 더 뚫어놓으려는 상상이기도 합니다 저거 -ㅂ-
  • KittyHawk 2018/09/09 01:16 # 답글

    아랄해 날려먹은거 생각하면 저걸 안 한게 차라리 다행이었던걸지도요...
  • GRU 2018/09/15 16:14 #

    아무다리야는 눙물을 흘려따
  • 홍차도둑 2018/09/09 01:23 # 답글

    그거 말고도 빙하를 녹이기 위해 사할린 해협에 댐을 쌓는다던가 미국과 협력해서 베링해에 댐을 쌓는다던가...많더군요...
  • GRU 2018/09/15 16:14 #

    별의 별 메가프로젝트가 있었죠. 정말 실현 안된게 다행이죠 ㅋㅋ
  • 슈타인호프 2018/09/09 08:27 # 답글

    베링 해에 댐을 쌓고 태평양 물을 퍼넣어서 북극해를 녹이겠다ㅡㄴ 발상은....정말....
  • GRU 2018/09/15 16:14 #

    깔깔 죽어라 지구
  • 오주원 2018/09/09 10:47 # 삭제 답글

    뭐 저때는 미국도 핵운하파려고 하던 시기니....에른스트 탤러 박사님과 핵만능론의 세계...
  • GRU 2018/09/15 16:15 #

    뉴클리어 파라다이스-
  • RuBisCO 2018/09/09 12:33 # 답글

    에드워드 텔러가 운하파려고 했던걸 소련은 안하나 했는데 역시 소련서도 하고 싶어했었군요.
  • GRU 2018/09/15 16:15 #

    니도 하면 내도하고
  • 빵구똥꾸 2018/09/10 16:27 # 삭제 답글

    돈은 제외하고 핵터지고 나서 잔류 방사능은 아예 고려가 안된 것인가 아니면 잔류방사능 감안해도 남는장사라고 판단한건가 ㄷㄷ
  • GRU 2018/09/15 16:15 #

    뭐.. 홍보용으로는 제격이겠죠. 물속에 사람 살것도 아니잖아요(???)
  • Kamchatka 2018/09/15 18:25 # 삭제 답글

    DAYS R SURVIVAL: THIS IS MOTHER RUSSIA!!!

    (Days R Survival은 핵전쟁 이후의 러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모바일 생존 게임입니다)
  • 예르마크 2018/09/22 21:23 # 답글

    수양제와 이명박이 울고갈 ㅋㅋㅋ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