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정보화 사회 구성을 위한 두가지 시스템들 그외 잡설




중앙경제통제망(ЕГСВЦ)

1959, 소련군 포병 대령이자 컴퓨터 과학자였던 아나톨리 키토프가 흐루쇼프와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제시한 다목적자동운영시스템(Multi-Automatic Control System) 계획으로, 소련 내에 있는 경제,행정,학술,군사시설에는 말단 컴퓨터망(низовые центры), 이러한 컴퓨터 시설을 관리하는 중간허브(вычислительные центры обслуживания), 최종적으로, 시설망에서 수집한 경제/행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계획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중앙통제허브(ЕГСВЦ)으로 구성되있다.



50개의 고성능 컴퓨터 센터들로 구성된 중앙통제허브를 필두로, 지방과 중앙을 연결하는 300-400개의 중간허브와 전국토에 연결된 약 7000개 시설망으로 전 소련을 망라하는 자동계획경제운영망(Network)을 구성할 계획이였다. 또한 중간허브는 이후 집단이용 컴퓨터센터(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центров коллектив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으로써, 시설망의 연결뿐 만이 아니라, 시설망을 구성 못하거나, 부족한 컴퓨터 장비를 보충해주는 지원시설의 역할과, 중앙허브의 용량이 초과하는 복합/대형계획안의 정보처리보조도 맡을 수 있었다.


통제시스템은, 두가지 모드로 형성되며, 평화상태와 전시상태의 자동운영시스템으로 나뉜다. 평화 상태는 모든 자동운영을 경제와 행정, 연구계획에 치중하는 구조이지만, 전시상태로 돌입하면, 군사작전으로 전환된다.


키토프는 중앙경제통제시스템의 도입으로 소련 계획경제를 자동화로 재구축하려고 한 것이며, 이러한 전산계획경제를 책임질 자동운영시스템의 개발,조율,운용을 위한 전 소련 정치적 협의체 고스코무프르(Госкомупр)를 제안했다. 또한 키토프는 소련 전국에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고 흐루쇼프에게 호소하였지만, 컴퓨터 생산량에 대한 것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지만, 급진적인 경제체제 변경이 필요한 자동운영시스템의 도입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소수의 지지자들이 있었지만, 국방부의 통합간 경제와 군사의 간섭문제를 이유로 거부했으며, 또한 키토프는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되고 대령의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 다만, 중앙경제통제망의 기초 시설망은 1964, 리베르만, 벨킨과 같은 경제학자들의 효율대비 비용에서 비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수상인 코시긴의 지지를 얻어 우크라이나 리보프 지역에 시범적으로 개설되었다.






전연방정보처리시스템(ОГАС)

우크라이나 키예프 사이버네틱스 연구소의 소장이였던 빅토르 글루쉬코프는 키토프의 통제망 제안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통제망을 제어할 보완적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나 동일하게 거절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 말, 소련은 미국이 유사한 통제망인 아파넷’(ARPANET)1966년 계획하고 69년에 운용할 계획임을 파악하였고, 소련은 글루쉬코프가 제안한, 전연방정보처리시스템, 이하 오가스 구현에 대한 계획 가능성을 논의하였고, 1971년 공식적으로 계획이 시작되었다.



글루쉬코프는 소련 전국에 컴퓨터 통제망을 형성하고 운영체제인 오가스를 개발하여, 전 소련의 비대하고 비효율적인 문서관료제와 계획경제에서 빠른 통신과 효율적인 컴퓨터-자동운영시스템으로 하여금 전자계획경제와 행정으로 이어가고자 하였다.



오가스는 소련 행정조직 내(행정부, 고스플란, 과학기술위원회(ГКНТ), 물류조직(МТС) E.T.C..) 보유하고 있는 모든 정보망을 하나의 자동운영체제에 통합한 것이며, 오가스를 통해 소련 전국의 모든 공장들과 농장들, 그리고 연구시설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말단 컴퓨터망,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전송센터와 이를 처리하는 컴퓨터 센터들이 구축되어 신속하고 정확한 5개년 계획안을 수립하여, 이를 수행하도록 자동으로 말단 컴퓨터 망으로 계획을 보내 경제/연구주체들이 정확한 계획을 수령받아 하는 것이다. 기존에 필요한 복잡한 절차와 문서들, 그리고 혼선과 중간에서 어긋나는 기존의 계획경제보다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고 글루쉬코프와 개발진은 평가했다.



1980, 글루쉬코프는 오가스의 기본적인 통제망 구성(ГСВЦ - 국가컴퓨터센터망)에 긍정적 결과가 나오자, 오가스를 계획경제의 부분에서만이 아닌, 일반사회복지와 같은 분야에도 통합하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소련 내 인구의 자동인구건강정보처리(медицинского учета населения), 주거정보자동처리(коммунальных платежей), 고용정보자동처리(трудовых отношений), 그리고 모든 서비스와 재화에 대한 무현금지불’(безналичную форму расчета гражданами за приобретение товаров и услуг)등을 구현하려고 했다. 1990년에 기초적으로 구성될 오가스 체제는 진보한 계획경제를 넘어선 정보화 사회주의의 구성을 목표로 한 것이다.



구현될 통제망은 크게 3개의 중추로 이뤄지며, 모스크바에 구축된 연방단계의 모든 계획/복지를 처리하는 연방, 각 연방 공화국의 수도에 위치한, 공화국 내 경제계획, 사회복지의 정보를 처리하는 공화국, 그리고 공화국 내 기본적인 지역경제와 복지를 처리하는 지역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본적인 구성이 완료되었을 1990년에는 기본적인 지역망과, 공화국망, 그리고 연방망이 형성되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글루쉬코프는 1990년에 구현된 오가스의 구현에 대한 기대효과는 750~1050억루블이며, 통제망 구성으로 시설 자동화에 대한 효율은 1150~1250억루블, 국정운영 효율에 최소 0.87%의 향상을 가져올수 있다라고 예측하였다.



하지만, 1971년도부터 개념구성단계에 있던 오가스는 경제학자들의 격렬한 반대에 봉착했고, 통제망과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행정부들은 독점하고 있던 각각의 정보망을 통합한다는 것에 대해 행정부의 권한과 통제력이 낮아진다고 판단하여, 비협조적으로 나왔고, 1980년에 제안한 통제망/시스템의 구현비용이 750억 루블, 당시 1980년의 국가지출의 5.8%(당시 국방비와 동일), 비용적으로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시간을 끌다가 1982, 글루쉬코프의 요절로 인한 계획의 구심점이 사라짐에 따라 표류하였고, 궁극적으로 오가스 계획은 통제망의 기초 토대만을 구성했을 뿐, 1991년 소련이 무너질때까지 구현에 실패하였다.




이런거 보면, 가끔, 오가스를 보고 말하는 '사회주의 인터넷' 보다는,  저기 말처럼 소련의 소샬리즘식 정보화 사회 구현시도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저게 적어도 1990년에 기본만이라도 도입만 됬더라도, 현재 곶통받는 러시아는 커녕, 진짜 소련 남아있었을 듯 합니다. 개념도 훌륭하고 구현도 (노력만 쏟아부으면)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였는데.

안타깝게도, 계산을 해보니 소련 예산의 5.8%를 투자해야 한다는 (1980년 기준) 것이 나와버리니. 찌질이(?) 공산당과 행정부는 '으으..' 하다가 82년 중축인 글루쉬코프가 요절해버리니, 자기네들이 진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걷어 찬 거나 마찬가지죠 -_-.



덧글

  • nolifer 2018/10/03 15:11 # 답글

    서방 자유진형으로썬 다행이지만 인류의 새로운 도전으로썬 안된일이네요
  • GRU 2018/10/03 16:16 #

    어찌보면 아쉽고, 어찌보면 다행인 일이죠 ㅋ
  • 거북이 2018/10/03 16:25 # 삭제 답글

    "경제학자들의 격렬한 반대"

    그래 경제학이라는 학문분과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세상을 망쳐온 너희들의 유구한 공로는 내 잊지 않겠다.
  • GRU 2018/10/08 21:20 #

    갱제부 장관은 갱제나해!
  • 존다리안 2018/10/03 16:32 # 답글

    차라리 알파넷 그리고 이를 이은 인터넷이 어떤 면에서는 나았군요.
  • GRU 2018/10/08 21:20 #

    사실 말해, 비교할수 없습니다.

    나오질 못했으니까요 ㅋㅋㅋ
  • 자유로운 2018/10/03 17:58 # 답글

    한편으론 다행인데 지금와서 보면 참 아쉽군요.
  • GRU 2018/10/08 21:20 #

    싸이바 쏘련이라니, 그런 무서운 생각을!
  • 2018/10/04 09:22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8/10/08 21:21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빵구똥꾸 2018/10/04 20:51 # 삭제 답글

    시빌라 시스템을...
  • GRU 2018/10/08 21:21 #

    ...?!?
  • Mrpd 2018/10/05 04:24 # 삭제 답글

    저때 pc의 컴퓨팅 파워로 저게 될지가 의문이네요
  • GRU 2018/10/08 21:22 #

    그렇습니다. 그래서 키토프 아재가 강조하길, 이 계획을 수행하려면 컴퓨타나 많이 뽑아야 한다..! 라고 말하기도 했죠. 수량으로 커버친다! 뭐 그런거였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