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 연구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1 2

소련으로 온 걸 환영하오, 미국 동지!

(TsAGI에서 연구중인 모습.)정글에서 우리와 뜻을 같이 하는 훌륭한 비행기를 만났지!- 소월 우호관계 증진의 차원에서 소련에 보내진 남베트남 F-5.소련 영웅 N.I 스토고프, A.S. 베제베츠 테스트 파일럿에게 운용중인 F-5E 타이거2 (우리에겐 제공호로 유명한 친구)소련군 비행연구팀에게서 활발히 연구 되었습니다. 가끔 소련도 어그레서로도 운용했...

IWT 제 복합광학장비를 사용중인 FPI(미래연구재단) 시연자

IWT 복합광학장비가 뭐냐고 뭍는다면, IWT 새뀌들이 뭘 만드는지 영상을 한번 보시면 됩니다. IWT 놈들은 옵틱 생산업체로, 사냥용부터 다양한것을 손대고 있습니다.보신다면, 좋아보이는 기능만 집어넣은 졸라 비싼 쓰레기.. 라고도 할수 있겠지만, 그래도 다듬기만 한다면, 다목적 총기 장착 가능 광학장비로 좋을듯 싶습니...유지관리도 둘째치고, 존나 비...

소련 최초의 열상관측장비 1PN59와 후속작 이야기(?)

60년대 중후반부터 소련은 노보시비르스크 광학장비 공장과 모스크바 연구소에서 열상장비에 대한 연구개발을 시작하였고, 1975년부터, '레나'라는 이름의 열상개발프로젝트를 잡았습니다.목표는 포병정찰장갑차량에 달아놓기 위한 놈이였고, 실제로 개발한 녀석이 1970년대 말 - 80년대 초에 나온 '레나-FN' 열상카메라 기반 1PN59였습니다. 이리저리 말썽...

소련 적국 기갑연구자료중 하나

y축은 기술적 수준을 말하고x축은 연도입니다.연구자료 자체는 중거리핵전력 감축조약 이후, 미국의 재래식 전력의 확충에 대한 분석자료.(1989)소련측은 이러한 과감한 계획이 2000년쯤에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전자전력에 대한 완전한 '질적 우세'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파악했습니다.주된 증거로는 M60A1 전차 개량계획을 깔끔히 포기하고, 하이로우믹스...

이동식포병복합체(MAK)

Следующим условием повышения боевых возможностей артиллерий­ских формирований является пере­вооружение их на 152-мм межвидовой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комплекс (МАК).포병제대의 전투능력을 향상해야할 상황에 따라, 대체 무장으로 152MM 이...

체르노빌 이후의 소련 과학계의 반응과 일련의 실험(?)

그들이 핵이 우릴 실망시켜써! 인류는 죄인이야! 면서 우울해 있었을거라고 생각했씁니까? 천만의 말씀.체르노빌 출입금지구역이 형성되고 난 이후, 소련 과학계는 이런 대규모 구역에 대해서 매우 '훌륭한' 인류의 과학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즉 인류의 큰 실수에서 배우는 새로운 기회..! 라는 느낌이라고 보시면 되지요.인류가 만들어낸 새로운...

미 육군 군사기술혁신보고

https://www.armymantech.com/pdfs/FY19Mantech.pdf미 육군 군사기술혁신보고 2019심심하신 분들은 보시길.- 다른건 몰라도 저 광학기술보고가 참 꼴릿하네요. 허, 저런것만 있다면 정찰에 정말 도움 되겠는데 말이죵.갑자기 왜 미군관련자료를 올리냐? 라는 질문에는, - 원래 저는 모든 국가 분야를 파는 양반입니다. 주로 ...

러시아군 신형 날탄 연구문서

'현재 APFSDS를 개발하고 있는 연구측에 있어 필요되는 것은 사격시 집탄율(정확도)을 요구성능에 만족하는 것이며, 이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는 각도 변화와 포구회전비행탄속으로 나타난다.'∆ - 반경 방향 변위1 - 길이(이탈피 축 사이 길이?)+ - 이탈각 표준편차값+r - 각속도두개으 이탈피를 테스트 중인건가..

연속회전-데토네이션 엔진 시연품

2017년부터 들려오던 논문 (2018년 2월에도 올라온적 있는)야, 데토네이션 엔진이라, 언제적 이야기야! 싶은 오랫만의 '꿈으 엔진' 입니다.저도 전문 기술적 용어까지는 몰라서, 정확한 실험자료까지는 이해할순 없지만. 일단 세계에서 처음임! 이라고 주장하는 러시아 과학원 발표에 대해 믿어보죠.'연속회전-데토네이션' 과 '종축-펄스연소'(...

소련의 사이버-네트워크 체계 구현과 실패

Ⅰ. 서 론 21세기는 이른바 정보화 시대라고도 불리는 시대이다. 주위에 컴퓨터가 들어가지 않은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 2018년에 다다른 지금 사회망과 정보망이 융합되는 시대, 다시 말해 우리는 복잡한 민원 과정을 몆십 분 만에 처리할수 있는 정도의 사회에서 살고 있으며,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연계가 강화되고, 빠른 행정 처리와 더붙어서 전국의 사...
1 2